본문 바로가기

Algorithm14

[백준] 2178.미로 탐색 2178.미로 탐색 개요 - 문제의 정답이 '최소의 칸'을 찾는 문제이기 때문에 탐색 알고리즘 중 BFS(너비 우선 탐색) 알고리즘이 문제를 해결하기에 적합하다. - 미로의 범위 체크와 방문 여부만 잘 확인하면 해결할 수 있는 문제이다. 문제 N×M크기의 배열로 표현되는 미로가 있다. 미로에서 1은 이동할 수 있는 칸을 나타내고, 0은 이동할 수 없는 칸을 나타낸다. 이러한 미로가 주어졌을 때, (1, 1)에서 출발하여 (N, M)의 위치로 이동할 때 지나야 하는 최소의 칸 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 한 칸에서 다른 칸으로 이동할 때, 서로 인접한 칸으로만 이동할 수 있다. 위의 예에서는 15칸을 지나야 (N, M)의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. 칸을 셀 때에는 시작 위치와 도착 위치도 포함한다. .. 2022. 2. 11.
[백준] 1260.DFS와 BFS 1260.DFS와 BFS 개요 - 이 문제는 DFS와 BFS를 이해할 수 있는 가장 기본이 되는 문제다. - DFS는 제귀 함수를 사용하고, BFS는 Queue를 사용하는 개념을 이해할 수 있다. 문제 그래프를 DFS로 탐색한 결과와 BFS로 탐색한 결과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 단, 방문할 수 있는 정점이 여러 개인 경우에는 정점 번호가 작은 것을 먼저 방문하고, 더 이상 방문할 수 있는 점이 없는 경우 종료한다. 정점 번호는 1번부터 N번까지이다. 입력 - 정점의 개수 N(1 ≤ N ≤ 1,000)- 간선의 개수 M(1 ≤ M ≤ 10,000)- 탐색을 시작할 정점의 번호 V - 다음 M개의 줄에는 간선이 연결하는 두 정점의 번호가 주어진다. 조건 - 어떤 두 정점 사이에 여러 개의 간선이 .. 2022. 2. 10.